유데미 스타터스 유니티 개발자 취업 부트캠프 1기 - 8주차 학습 일지
이번주는 Particle System을 활용한 특정 애니메이션 만들기가 과제였다.
강사님이 지정해주신 컴포넌트 속성을 활용하여 애니메이션을 구현해야했는데 특히, Particle System 컴포넌트의 각 세부 특성을 활용해 각도 조절, 세기, 발생횟수 등을 정해주어야 하는 만큼 Particle System 전반에 대한 이해에 초점이맞춰진 과제였다. 따라서 나는 강사님이 제시해주신 영상에 들어간 기능을 최대한 구현하는것을 목적으로 과제를 구현했다.
강사님이 오시는 목요일과 금요일에는 닷지 장르 게임의 클론코딩, LBS (Lotation Based Service) 컨텐츠에 대한 설명 및 사용되는 기술들에 대한 내용으로 강의가 진행되었다.
이번 학습 일지 역시 주간 과제를 진행하며 기록한것들과 LBS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을 중심으로 적어나갈 예정이다.
🐥 Particle System을 활용한 토네이도 애니메이션 만들기
Particle System
파티클 시스템은 파티클이라고 부르는 매우 작은 이미지나 Mesh를 시뮬레이션, 렌더링해서 시각효과를 생성한다, 시스템의 각 파티클은 효과의 개별 그래픽 요소를 구현한다. 또한 모든 파티클들을 종합적으로 시뮬레이션 하여 완성된 효과를 구현하며 이는 메시(3D)나 스프라이트(2D)로 묘사하기 어려운 불, 연기, 액체 등과 같은 동적 오브젝트를 구현할 때 유용하다.
https://docs.unity3d.com/kr/2021.3/Manual/ParticleSystems.html
사용된 주요 개념
Particle System(형태 구현), Animator(파티클 오브젝트의 이동 애니메이션 구현)
과제 구현 목표
- 평면적인 토네이도 대신 Shape를 통해 안쪽으로 각도(45도)를 부여한 토네이도 구현
- 애니메이션을 통한 Scale, Transform 변화 부여
🐥 LBS(Lotation Based Service)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LBS)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변경되는 위치에 따르는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콘텐츠 서비스들을 가리킨다. LoCation Services(LCS)로 지칭되기도 한다.
이는 헬스케어 컨텐츠, AR 컨텐츠 등에서 활발히 사용되는 기술로서 유니티로 개발한 대표 컨텐츠로는 '포켓몬 고'를 들 수 있다.
포켓몬 고는 GoogleMap과 AR, GPS 기술을 결합해서 만든 컨텐츠로 디바이스의 GPS, 카메라에 접근, 해당 기능을 유니티와 동기화하여 게임을 진행 할 수 있게 도와준다.
따라서 트래커, 위치기반 통신을 활용하기 위해 상태문을 통해 신호를 받게된다.
또한 해당 기능을 사용하기위해 핸드폰 권한에 접근 해야 하므로 권한요청하는 코드를 작성한다.
이러한 기능을 토대로 GoogleMap등의 API를 사용하면 실제지도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은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 총평
1. 파티클 시스템의 각 기능, Animator에 대해 생각치 못했던 방식으로 재밌게 공부할 수 있었던 한주였다.
2. 다양한 게임 장르의 구현기술을 클론코딩을 통해 배워 보며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유데미코리아 바로가기 : https://bit.ly/3b8JGeD
Udemy Korea - 실용적인 온라인 강의, 글로벌 전문가에게 배워보세요. | Udemy Korea
유데미코리아 AI, 파이썬, 리엑트, 자바, 노션, 디자인, UI, UIX, 기획 등 전문가의 온라인 강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www.udemykorea.com
본 포스팅은 유데미-웅진씽크빅 취업 부트캠프 유니티 1기 과정 후기로 작성되었습니다.